본문 바로가기
B전문가의 잔지식공유

문학 비평의 개념

by B전문가 2021. 12. 21.

문학 작품의 구조 및 가치, 작가의 창작 방법, 세계관 따위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검토하고 판단하는 일을 가리켜 문학 비평(문예 비평)이라 한다.
문학 비평의 종류 관심방향에 따른 분류 외재적 비평 : 작품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요인을 증시하여, 이들과 작품의 관계를 연관지어 다루는 비평이다.
표현론(생산론)적 관점 : "작품은 작가의 가지표현이다."
작품이 작가와 맺는 관계를 중요시하는 관점이다.
문학을 '작가의 체험과 사상의 반영물'로 보는 견해로 작품 속에 작가의 체험,사상,감정 등이 표현된어 있다고 믿는다.
반영론적 관점 : "문학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다."
문학을 현실의 모방 내지 반영으로 보고 , 문학 작품과 작품의 대상이 되는 현실 세걔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이다.
반영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실의 어떠한 측면이 작품에 어떤 방법으로 재구성 되어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효용론(수용론)적 관점:"작품이 독자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가."
작품과 독자의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으로 독자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인다.
수용자는 단순한 독자의 의미를 넘어 '능동적 참여라'로 확장된 개념이다.
수용론에서는 독자가 작품을 수용함으로써 의미가 구현된다는 점을 들어 독자의 역할을 중시한다.
내재적 비평(절대주의적 관점): 작품 이외의 사실에 대한 고려를 배제하고 언어,문체,운율,구성,표현 기법,미적 가치 등의 작품 내부적 요소를 분석하는 비평이다.
구조주의 작품을 생명력을 가진 하나의 독립체로 보고, 작품의 가치를 내부에서 찾으려 하는 관점이다. 작품의 부분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있는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지닌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데 주력한다.
작품의 내적 가치를 절대적으로 여기며,문학 작품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므로 구조 분석을 통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여긴다.
형식주의 작품을 독자적인 의미를 가진 대단히 복잡한 조직체로 파악한다. 정밀한 언어 분석을 중시하며, 작품에 쓰인 낱말과 문장, 소리 , 이미지 , 상징 , 비유 등이 작품 전체의 문맥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둔다. 러시아에서 발생한 후 미국의 신비평으로 계승되어 발전하였다. 장점: 문학 작품을 치밀하게 분석하여 미적 가치를 밝힐 수 있다. 한계 : 치밀한 분석에 치중한 나머지 시 장르와 같은 짧은 형식의 장르에 관심이 치우쳤으며, 작품을 사회적.역사적 상황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작춤의 총체적인 이해가 어렵다.
종합주의적 관점 : 통합적 관점으로,외재적 관점과 내재적 관점을 섞어 작품을 비평하고 감상하는 방법이다.다각도에서 총체적으로 작춤을 이해하고자 하며, 문학 작품 감상 시 작춤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관점들을 적용함으로써 작춤 이해의 폭을 넓히려 한다.
사실주의 발생 낭만주의의 비현실적인 성격에 반발하여 19세기 중.후반에 일어난 문예 사조로,현실적 사물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특징 : 사물을 괜관적으로 관찰하여 과장이나 왜곡 없이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대상을 미화하지 않고 추악한 모습까지 그대로 묘사하였다.
대표적 작품 : 발자크의 '인간희극'.'고리오 영감'.스탕달의 '적과 흑'.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모파상의 '여자의일생'.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 도스토옙스키의 '죄와벌'
우리나라의 경향 동인지 창조를 중심으로 사실주의적 경향이 일어났다.1920년대에는 김동인.현진건,1930년대에는 염상섭.채만식이 사실주의적 경향의 작춤을 창작하였다.
자연주의 발생: 19세기 사실주의 영향으로 자연 과학적 결정론에 바탕을 두고 발생하였으며, 인간은 자연 법칙에 종속된다는 기계론적 결정론과 진화론,환경 결정론의 영향을 받았다. 특징 :  인간도 자연물처럼 자연 법칙에 따라 일생이 운명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대표적 작품 :  에밀 졸라의 목로주점 모파상의 비곗덩어리 입센의 인형의집 하디의 테스 존 스타인벡의 분도의 포도 등 우리나라의 경향 :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김동인의 감자 등이 대표적인 자연주의 경향의 작품이다.
유미주의
발생 :  미의 창조를 궁극적인 목표로 하여 19세기 후반에 나타난 사조이다. 탐미주의라고도 하며, 넓은 개념의 낭만주의에 포함된다.
특징 :  아름다움을 최고로 가치로 여기며,예술이 도덕적 , 윤리적 , 정치적 기중에 의해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자연배격,형식과 기교 . 인공적인 것. 감각적인 것의 중시, 개성의 신장 등을 목표로 하므로 퇴폐주의적.악마주의적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표적 작품 : 포의 '애너벨 리', 보들레르의 악의 꽃 파리의 우울 오스카 와일드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살로메 등
김동인의 광화사 광염소나타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이효석의 분녀 장미 병들다 화분 서정주의 화사집 등이 대표적인 유미주의 경향의 작품이다. 상징주의 발생 :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의 외면적 . 객관적 성격에 대한 반발로 19세기말 ~20세기 초에 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 사물.정서 등을 상징을 통해 표현하였다. 특징 :  사실주의에 반발하고 낭만주의를 계승한 것으로, 낭만주의가 감각적 대상에서 쾌감을 느끼는데 그친 반면 , 상징주의는 이상을 추구하였다. 대표적 작품 :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 베를렌의 화려한 향연 랭보의 지옥의 계절 예이츠의 꿈 등 이 있다.